본문으로 바로가기
OTT.
Total 4
원하는 만큼, 원하는 방식으로 보다, 시성비 시대의 시청자

콘텐츠를 보는 형태가 크게 바뀌고 있다. 드라마를 2배속 3배속으로 빠르게 보고, 2시간짜리 영화가 지겨워 10분짜리 요약본으로 본다.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의 ‘리퀴드(Liquid, 액체 혹은 유동적인)’라는 레토릭을 빌린다면, 이런 문화 현상은 ‘리퀴드 향유’로 표현할 수 있다. 영화, 드라마, 만화 등 콘텐츠의 디지털 전환이 보편화되고, 콘텐츠를 전하는 채널이 무한히 확장되며 단순히 보는 방식을 넘어 콘텐츠의 성질 자체까지 바뀌고 있다. “영화를 2배속으로 본다고? 그렇게 봐서는 안 돼. 느긋이 감상해야지.” 비판만 하고 있다면, 잠시 멈추고 이런 변화의 속살을 들여다보자.

2023. 11. 22

시간의 가성비, 시성비를 높이는 법

사람들이 시간을 압축하고 중첩하며 얻고자 하는 것은 ‘시간 대비 성과의 비율’, 즉 ‘시성비’를 높이는 것이다. 사람들의 시간을 아껴주는 온갖 기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역설적으로 시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영상 콘텐츠만이 아니라 외식 · 전시 · 공연 · 여행 등 경험이 넘쳐나는 ‘경험경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저축도 차용도 불가능한 시간 자원의 특성상, 하나의 경험에 시간을 쓴다는 것은 다른 수많은 경험은 포기해야 한다. 하나의 선택이 가진 기회비용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사람들은 분과 초 단위로 시성비를 따지며 시간을 무엇보다 귀한 자원으로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분초사회’에서 우리는 소비자에게 어떻게 다가가야 할까?

2023. 11. 20

이색 콘셉트로 시청자의 몰입을 끌어내다, 신한금융그룹 기발한 시선 캠페인

SNS의 숏폼 영상, OTT가 선보이는 각양각색의 오리지널 콘텐츠, 영상 콘텐츠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이제 ‘수많은 시청 선택권’을 가진 ‘시청자들의 시대’가 되었다. 단일 콘텐츠에 몰입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으며, 최근에는 프로그램 전체를 보지 않고, 프로그램의 핵심만 ‘모아보기 영상’을 다루는 유튜브 채널도 많이 생기며 ‘시청 몰입도’가 마케터들에게는 하나의 과제가 되고 있다.

2022. 02. 16

고객과 밀당하는 OTT 서비스 마케팅

“헐 이 영화 A플랫폼에 들어왔나 봐. 미친..” “B에서 A로 갈아타야 하나” “나 이미 B, C, D 쓰고 있는데… A까지 가입 할말?” 코로나 사태로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며, 소비자들의 디지털 콘텐츠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시장이 커지고 볼만한 콘텐츠들도 많아지면서 뭘 볼지, 어떤 서비스를 구독할지 소비자들의 …

2021. 0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