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Insight.
Total 326
New
냉장고와 자동차가 구독 서비스의 주인공이 된 이유는?

구독경제 2.0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오늘은 그 중에서도 구독의 대상이 비내구재에서 내구재로 확장되는 흐름에 주목해 보려 한다. 이를 통해 구독경제가 앞으로 어떻게 진화할지, 그리고 어떤 시장 가능성을 가질 수 있을지 함께 살펴보겠다.

2025. 02. 18

New
더욱 새로워진 2025 셀프케어 트렌드

최근 노화를 늦추는 생활 습관을 의미하는 ‘저속노화’ 열풍이 심상치 않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 트렌드가 고령자가 아닌 2030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당뇨 환자들이 주의하던 혈당을 스스로 측정하며 관리하는 것은 물론이고, 식후에는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명 ‘애사비(애플 사이다 비니거)’라 불리는 사과식초 한 스푼을 챙겨 먹는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저속노화 라이프’를 실천했다는 후기가 쏟아지고, 자신들의 식단 레시피를 공유하며 서로 독려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2025. 02. 18

New
우리에겐 OO선생님이 필요해! 케어의 아웃소싱

사람들은 누구와 함께하려 할까? 소셜 빅데이터로 분석 결과 ‘함께하다’의 연관 대상 키워드 중 눈에 띄는 변화는 ‘가족’과 ‘선생님’에 있다. 이 시대의 관계성, 그 중에서도 ‘가족’과 ‘선생님’이 주목받는 이유를 소셜 빅데이터 분석으로 알아보자.

2025. 02. 18

[어텐션, 크리에이터] 출근길 1분 만에 트렌드 GET! 인스타그램 트렌드 채널 4

트렌드를 배우고자 뉴스레터도 신청해 두고, 유튜브 채널도 구독해 두었건만 번잡한 일상 속에 내용을 볼 시간이 좀처럼 나지 않는다. 트렌드는 따라가고 싶지만 짬을 내기 어려운 직장인을 위해 출퇴근 길 이동하며 짬짬이 볼 수 있는 인스타그램 트렌드 채널들을 가져왔다.

2025. 02. 12

[어텐션, 크리에이터] 나다운 삶을 추구하는 이들을 위한 채널 추천 4

연초가 되면 우리는 목표를 세운다. ‘올해에는 주도적으로 살아야지.’ ‘나답게 살아야지.’ 하지만 그런 목표는 일상의 번잡함 속에 희미해지고, 올해 역시 작년과 비슷한 한 해를 보내기 일쑤다. 이번 제일매거진에선 나다운 삶을 추구하는 이들이 힘을 얻을 수 있는 유튜브 채널 4곳을 소개한다.

2025. 01. 23

세대와 성별 뛰어넘는 잡식성 소비자의 등장, 옴니보어

1020세대, 3040세대, 5060세대 중 샐러드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집단은 누구일까? 정답은 1020세대다. 흔히 10대와 20대는 마라탕과 탕후루만 먹을 것 같다는 편견이 있지만 이들은 건강 관리에 진심이다. 신한카드 빅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1020세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샐러드 전문점과 헬스장을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 01. 21

Quiet & Silent, 조용함이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되다

우리의 소비와 경제는 화려함과 요란함, 과시와 외향성을 지향하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제 바뀌었다. 욕망의 반작용 때문이다. 조용함(Quiet & Silent)이란 트렌드가 당신을 둘러싸고 확대될 2025년, 우리 눈앞에 어떤 변화가 펼쳐질지 살펴보자.

2025. 01. 17

팝업스토어는 2025년에 어떻게 변화할까?

2024년은 팝업스토어의 한 해였다고 해도 과하지 않다. 1500여개 이상의 팝업스토어가 열렸고 이는 아주 작은 브랜드의 팝업스토어를 제외한 숫자임에도 상당히 많은 숫자다. 이제 팝업스토어는 단순한 이벤트가 아니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한 영역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런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에 대한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즉, 너무 많아서 더 이상 팝업스토어가 새롭게 여겨지지 않는 것에 대한 걱정이다.

2025. 01. 17

인간처럼 이해하고, 인간처럼 행동하는 멀티모달 AI

얼핏 막연해 보이는 이런 상상은 의외로 실현 가능성이 낮지 않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해 처리하는 멀티모달 AI(Multimodal AI)다. 최근 전 세계 AI 업계가 주목하는 멀티모달 LLM(대규모 언어모델, Large Language Model) 군비 경쟁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하나의 맥락을 엮어, AI가 더욱 인간적으로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2024. 12. 18

2025년, AI가 경제적 가치를 보여줄 시간

AI는 최근 몇 년간 놀라운 발전을 이루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AI는 주로 실험적이거나 연구 중심으로 활용되어,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수익을 내는 데는 어려움을 겪어온 게 현실이다. 이제 AI는 혁신 기술의 상징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수익을 창출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 2025년은 이러한 전환점으로, AI가 단순히 혁신의 도구가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4.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