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트렌드.
Total 100
Quiet & Silent, 조용함이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되다

우리의 소비와 경제는 화려함과 요란함, 과시와 외향성을 지향하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제 바뀌었다. 욕망의 반작용 때문이다. 조용함(Quiet & Silent)이란 트렌드가 당신을 둘러싸고 확대될 2025년, 우리 눈앞에 어떤 변화가 펼쳐질지 살펴보자.

2025. 01. 17

팝업스토어는 2025년에 어떻게 변화할까?

2024년은 팝업스토어의 한 해였다고 해도 과하지 않다. 1500여개 이상의 팝업스토어가 열렸고 이는 아주 작은 브랜드의 팝업스토어를 제외한 숫자임에도 상당히 많은 숫자다. 이제 팝업스토어는 단순한 이벤트가 아니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한 영역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런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에 대한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즉, 너무 많아서 더 이상 팝업스토어가 새롭게 여겨지지 않는 것에 대한 걱정이다.

2025. 01. 17

독서는 핫해! 텍스트힙 트렌드

“Reading is so sexy!(독서는 정말 섹시해!)” 올해 초, 미국의 Z세대를 대표하는 인기 모델 카이아 거버(Kaia Gerber)가 인터뷰에서 자신이 만든 독서 클럽을 소개하며 했던 말이 화제다. 틱톡, 쇼츠, 릴스 등 각종 숏폼 콘텐츠에 지배당했던 요즘 사람들이 갑자기 책을 본다니! 지난해부터 시작된 독서 바람이 올해까지 이어지며 꾸준한 인기를 보이고 있다.

2024. 11. 14

손끝에서 시작되는 새 트렌드, MZ세대의 필사 열풍

책 속의 인상 깊은 문장을 정성스레 노트에 옮겨 적은 사진들이 인스타그램을 채우고 있다. 해시태그 '필사스타그램'은 이미 12만 건을 넘어섰으며, MZ세대는 자신이 필사한 문장, 각자만의 필사 방법까지 활발하게 공유하고 있다. 단순한 유행을 넘어 하나의 지속적인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은 MZ세대의 필사 열풍.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불리는 MZ세대가 이처럼 아날로그적인 필사에 빠져든 이유는 무엇일까?

2024. 11. 14

“물놀이 중 위급상황 발생시 이 봉지 과자를 이용하세요!” GS25x제일기획, 물놀이 안전 돕는 ‘라이프가드 스낵’ 캠페인 성료

GS25와 제일기획이 여름철 물놀이 안전을 위해 개발한 이색 과자 ‘라이프가드 스낵(LIFEGUARD SNACK)’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2024. 09. 11

덕후가 브랜드에게, 찐팬이 말하는 팬덤 마케팅

연예인이 밥 먹여주냐? 연예인을 한 때라도 심하게(?) 앓듯이 좋아해 봤던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말이다. 나 또한 팬으로 살며 이런 비난의 말을 최소 수십 차례 들으며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러니하게 ‘연예인이 밥 먹여주는’ 예능 PD로 10년 넘게 일하고 있다. 그리고 나처럼 힐난의 말을 듣고 자란 팬들은 이렇게 말한다. “연예인이 밥을 먹여주진 않지만 밥 먹을 힘을 줍니다.”라고.

2024. 08. 14

[어텐션, 크리에이터] 덕후는 아니지만 덕후를 알고 싶을 때, 덕질 채널 추천 4

덕후가 무시받던 시절은 이미 지난 지 오래. 서브컬처 팝업에 사람이 몰리고, 웹툰과 웹소설 콘텐츠는 엄청난 소비 파워로 시장을 뒤흔든다. 비즈니스의 소재로 '덕후'가 뜨자 많은 브랜드들은 덕후의 마음, 즉 '덕심'을 활용하거나 그들의 세계관을 활용하고 싶어하는데. 덕후는 아니지만 덕후에 대해 알고 싶은 독자들을 위해 덕질 관련 채널들을 소개한다.

2024. 08. 09

“개발자-디자이너의 일상 티키타카 활용했더니…” KT, 신규 광고 1,000만 뷰 돌파

KT가 선보인 ‘AICT Company KT - 판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편 캠페인 영상이 유튜브 누적 조회수 1,000만 뷰를 돌파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2024. 07. 24

영화 원더랜드처럼, AI와 정서 교감 가능할까?

"꿈에서라도 만나고 싶은 그리운 이, 다시 볼 수 있다면 AI로 복원하시겠습니까?" 영화 는 고인 혹은 그에 준하는 사람을 AI로 복원하는 서비스가 일상화된 세상의 이야기다. 어린 딸에게 엄마의 부재를 느끼게 하고 싶지 않아서, 사고로 의식불명이 된 연인을 놓고 싶지 않아서 AI 서비스를 신청한 사람들. 그리고 그들을 관리하는 두 명의 플래너가 영화 주인공이다. 현실과 가상, 죽음과 삶의 경계가 모호해진 일상을 AI와 더불어 아무 일 없는 듯 살아가지만 여전히 외롭고 안타까워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비추며 영화는 나지막이 묻는다. 과연 우리는 AI와 마음을 나눌 수 있을까?

2024. 07. 11

디자이너 VS 개발자, 판교 밈으로 풀어낸 KT AI

KT는 대한민국 통신과 ICT 산업을 이끌어온 대표적인 테크 기업. AI 시대를 맞아 KT 역시 자신들이 가진 역량에 AX(AI Transformation) 역량을 더해 고객을 위한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드는 AICT Company로서의 비전을 새롭게 선포했다. 그리고 이 점을 소비자들에게도 알리고자 캠페인을 진행하고자 했다.

2024. 07.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