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웹소설.
Total 3
New
세계관 창작의 기술, K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소비자는 이제 눈앞에 보이는 스토리를 너머 ‘세계’에 참여하고 있다. 그 세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누가 살아가고 상처받으며, 누가 세상을 구하고 행복해지는지, 세계 안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규칙을 찾아내려 한다. K콘텐츠의 세계적 인기를 가능하게 한 ‘세계관’, 이 세계관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만들어질까? 세계관 창작을 위해선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

2025. 08. 22

OTT로 시작해 IP로 빛나다, 2024년 콘텐츠 트렌드

2023년 콘텐츠 생태계는 어떤 변화를 보였을까? 우선 눈에 띄는 건 OTT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보편화, 그리고 IP 중심의 가치 창출 시스템, 콘텐츠 전달 채널을 스스로 만드는 전략 등이 돋보였다. 올해 콘텐츠 생태계의 변화를 정리하며, 2024년 우리에게 다가올 변화를 예측해보자.

2023. 12. 18

주류가 된 서브컬처, 대중의 마음을 훔치다

올해 5월 더현대 서울에서 어느 아이돌의 팝업스토어가 열렸다. 누적 참가자만 1만 5000명, 올해 가장 흥한 팝업스토어 중 하나인 이 행사의 주인공은 인간이 아니다. 웹소설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에 등장하는 가상 아이돌, 소위 ‘활자돌(활자+아이돌)’이다. “현생에선 공시생이었던 내가 눈 떴더니 아이돌!” 소위 ‘이세계물’의 아이돌 버전인 셈인데. 이 캐릭터를 현실에서 만나기 위해 수많은 팬들이 모인 것이다. ‘서브컬처’ 콘텐츠가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다. 비주류 문화에서 지상파 방송까지, 마니아들의 콘텐츠에서 대기업 콜라보까지. 자신의 영역을 한없이 넓히고 있는 서브컬처의 인기 이유를 살펴보자.

2023. 11. 17